목소리를 낼 때 명치 부분에 손을 대고 그 부분이 자연스레 떨리면서 편한 상태로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본인에게 맞는 소리라고 합니다. 이때 폐에서 나온 공기가 후두와 성문, 성대와 성대 사이의 공간, 공기가 지나면서 소리가 나오는 부분, 입과 코를 지나면서 자연스레 공명이 되면서 공기와 소리가 적절히 어울려 나오면 편하게 발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 가지 더, 목건강을 지키고 곧고 좋은 목소리를 가지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복식 호흡입니다. 복식호흡은 내 밷는 호흡량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고 긴 호흡으로 자신이 원하는 속도로 안정되고 깊은 소리를 낼 수 있게 합니다. 기본적인 것이지만 발서오가 함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힙니다. 복식호흡이란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배와 횡격막을 이용해 배곱 밑 단전까지 숨을 깊이 들이 마셨다가 내밷는 것ㄷ입니다. 아랫배에 힘을 배고 몸 속 가장 깊은 곳까지 들이마시는 호흡은 풍부한 공기를 담을 수 있게 하고 중심을 낮춰줘 몸과 목소리를 안정시킵니다.
- 동의보감 건강혁명중에서
'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게 인사하기. (0) | 2023.03.26 |
---|---|
내장감각 - 천골반응? (0) | 2022.12.18 |
몸의 속도 (0) | 2022.10.07 |
호흡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예 (0) | 2022.07.18 |
머리와 목 균형 (0) | 2022.05.15 |